맨위로가기

장 파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파울은 1763년 독일의 프랑켄 지방에서 태어난 작가이다. 그는 소설, 에세이, 풍자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따뜻하게 그리면서도 독일 사회를 풍자적으로 비판하는 작품으로 유명하다. 그의 작품은 방대한 지식과 기발한 비유를 특징으로 하며, '도플갱어' 모티프를 처음 사용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장 파울은 언론의 자유를 옹호하고 낭만주의와는 거리를 두는 독자적인 문학 세계를 구축했으며, 그의 작품은 여러 작곡가와 후대 작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의 주요 작품은 거의 대부분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2. 생애

장 폴은 1763년 당시 바이로이트 변경백령에 속했던 프랑켄 지방 운지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학교 교사이자 교회 오르간 연주자였으며, 가정 형편은 넉넉하지 못했다.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나, 곧 문학 연구에 전념했다. 1784년 어머니와 함께 호프(Hof)로 돌아와, 1787년부터 1794년까지 가정교사 및 학교 교사로 일했다.[1]

1783-84년 "그린란드 소송"과 1789년 "악마의 서류에서 발췌"로 문필가로서 경력을 시작했으나, 큰 호평을 받지 못했다.[1] 1790년 영적 위기를 겪은 후, 1793년 장-자크 루소를 기리는 필명으로 소설 "보이지 않는 여관"을 발표하여 주목받았다. 이후 "헤스페루스"(1795), 지벤케스(1796-97) 등의 소설을 발표했다.

1797년 어머니 사망 후 라이프치히를 거쳐 바이마르로 가서 "티탄"(1800-1803)을 집필했다.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와 교류했으나, 요한 볼프강 폰 괴테프리드리히 실러와는 가깝게 지내지 않았다.[1]

1801년 결혼 후, 마이닝겐, 코부르크를 거쳐 1804년 바이로이트에 정착했다. 1808년 카를 테오도어 안톤 마리아 폰 달베르크로부터 연금을 받았다.[1]

"티탄" 이후 "풋내기 시절"(1804–5), "미학 입문"(1804), "레바나, 혹은 교육론"(1807) 등을 출간했다. 1817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821년 아들 막스를 잃고 큰 충격을 받았다.[1] 1824년 시력을 잃었고,[2] 1825년 부종으로 사망했다.[3]

바이로이트 시가지 묘지에 있는 장 폴의 묘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765년부터 장 폴의 아버지는 호프 근교 요디츠(Joditz) 마을의 목사였고, 1776년부터는 잘레 강변 슈바르첸바흐(Schwarzenbach an der Saale)의 목사였다. 1779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가족은 극심한 빈곤에 시달렸다.[1] 장 폴은 요디츠 마을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며 목가적인 환경 속에서 자아의식을 형성하는 경험을 했다.

아버지로부터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으나, 1776년부터 1779년까지 예배당 목사 펠켈에게서 철학과 지리학을 배웠다. 레하우의 목사 포겔의 서재에서 다양한 책을 빌려 읽으며 독서에 대한 열정을 키웠다. 1779년부터 호프의 김나지움(Gymnasium)에 다녔으며, 1781년 라이프치히 대학교 신학부에 입학했다. 그러나 1년 만에 신학 공부를 중단하고 문학과 창작 활동에 전념했다.

2. 2. 문학 활동과 사회생활

초기에는 에라스무스, 포프, 영 등의 영향을 받아 계몽주의적인 풍자 작품을 썼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 이 시기에 칸트, 야코비, 헤르더 등 당대 철학자들의 사상에 접했으며, 특히 헤르더의 인도주의 철학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1787년부터 퇴펜(Töpen)과 호프 주변에서 가정교사로, 1790년에는 슈바르첸바흐에서 사설 학교 교사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1790년 11월, 지인들의 죽음을 겪으면서 죽음에 대한 사색을 통해 인간애를 깨닫는 경험을 했다. 단편 소설 『펠펠』, 『쾌활한 붓츠 선생』을 거쳐 1793년 장편 소설 『보이지 않는 여관』을 발표하며 로렌스 스턴, 헨리 필딩을 본받은 자신만의 독특한 문체를 확립했다. 1795년 『헤스페루스』, 『픽스라인』을 발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1796년 바이마르를 방문하여 괴테, 빌란트, 헤르더 등과 교류했으며, 특히 헤르더와 깊은 친분을 맺었다.[2] 1798년 바이마르로 이주하여 야코비와 서신을 교환하며 철학적인 논의를 이어갔다. 1800년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이듬해 카롤리네 마이어와 결혼하고 마이닝겐으로 이주했다. 1802년 장편 소설 『거인』을 완성했다. 1803년부터 1804년까지 코부르크에 거주한 후, 1804년부터 바이로이트에 정착했다. 『미학 입문』(1804), 『자유 소론』(1805), 『레바나』(1807) 등 이론적인 저술 활동에 집중했다. 정치적으로 민주주의를 옹호하며 독일 공화국 건설을 주장하고 극단적인 민족주의를 비판했다. 1808년 대주교 카를 테오도어 안톤 마리아 폰 달베르크로부터 연금을 받게 되어 경제적인 안정을 찾았다. 1817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헤겔로부터 명예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811년부터 대작 소설 『혜성』 집필을 시작했으나, 미완성으로 남았다. (1820-1822년 출판) 1821년 외아들 막스가 사망하여 큰 충격을 받았다. 1825년 바이로이트에서 부종(dropsy)으로 사망했다.[3]

3. 작품의 특징

장 파울의 소설은 주로 그의 고향과 비슷한 시골 마을을 배경으로,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따뜻한 시선으로 그리면서도, 당시 독일의 현실을 풍자와 비판을 통해 드러낸다.[4] 그의 작품은 방대한 지식, 재치 있는 표현, 기발한 비유, 장황하고 산만한 문장이 특징이며, 때로는 이야기의 줄거리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모티프에 대한 고찰과 해설을 덧붙이기도 한다.[4] 스턴과 필딩의 영향을 받은 그의 문체는 당시 독자들에게 익숙한 감상적인 통속 소설의 문체와 유사한 면이 있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4] 하지만 이러한 특징은 후대 독자들에게는 오히려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장 파울은 괴테 등의 고전주의를 예술지상주의 및 형식주의라고 비판하며 거리를 두었고, 낭만주의 문학과도 거리를 유지하며 독자적인 문학 세계를 구축했다.[4] 특히, 그의 작품 속 여성 인물들은 심리적인 깊이를 가지고 묘사되어 여성 독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4]

3. 1. 도플갱어 모티프

장 폴은 문학에서 '도플갱어(Doppelgänger, 이중자아)'라는 모티프를 처음 사용하고 명명한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의 소설 『지벤케스』에서 도플갱어는 "자신을 보는 사람들"로 정의된다. 장 폴은 자신의 작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도플갱어 모티프를 활용했다. (예: 『지벤케스』의 지벤케스와 라이프게버, 『티탄』의 리아네와 이도이네, 로콰이롤과 알바노)[7]

3. 2. 언론 자유 옹호

장 폴은 평생 동안 언론의 자유를 옹호했으며, 검열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다. 그는 저서 『자유 소책자』(1805)에서 책은 인류에게 속하며, 현재뿐 아니라 미래 세대에도 영향을 미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책의 출판을 막는 검열은 현재 사회뿐 아니라 미래 사회 전체를 억압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나폴레옹 점령기의 엄혹한 상황 속에서도 그는 『독일을 위한 평화 설교』(1808) 등을 통해 이성과 자유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정치적 사순절 설교』(1816)에서는 통치자들에게 "사상은 통제할 수 없으며, 억압은 결국 샴페인 병처럼 폭발을 불러올 뿐"이라고 경고했다.

4. 영향

장 파울의 작품은 문학과 음악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E.T.A. 호프만, 고트프리트 켈러 등 후대 독일 작가들뿐만 아니라 후고 폰 호프만슈탈, 슈테판 게오르게와 같은 시인들도 그의 작품을 높이 평가했다.[7][8][9][10][11][12][13] 또한 프랑스 낭만주의 문학과 토마스 칼라일, 토마스 드 퀸시와 같은 영국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로베르트 슈만은 장 파울의 『청년 시절』(Flegeljahre)에서 영감을 받아 《파피용》을 작곡했고, 구스타프 말러교향곡 1번 "티탄"에 장 파울의 소설 『거인』의 제목을 붙였다.[1]

4. 1. 문학적 영향

장 파울의 작품은 E.T.A. 호프만, 고트프리트 켈러, 아달베르트 슈티프터, 빌헬름 라베 등 후대 독일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후고 폰 호프만슈탈과 슈테판 게오르게와 같은 후대 시인들도 그의 작품을 높이 평가했다. 프랑스 낭만주의 문학에도 영향을 주었다. 영국의 작가 토마스 칼라일과 토마스 드 퀸시는 장 폴의 작품에 관심을 가졌다.[7][8][9][10][11][12][13]

4. 2. 음악적 영향

장 파울의 작품은 여러 작곡가에게 영감을 주었다. 로베르트 슈만은 장 폴의 『청년 시절』(Flegeljahre)에서 영감을 받아 《파피용》(피아노 독주곡)을 작곡했다. 구스타프 말러교향곡 1번 "티탄"에 장 폴의 소설 『거인』의 제목을 붙였다.[1]

장 폴의 작품을 바탕으로 음악 작품을 작곡한 주요 작곡가들은 다음과 같다.

작곡가작품명발표 연도
로베르트 슈만《파피용》(피아노 독주곡)1832년
요한 프리드리히 키틀《Wär' ich ein Stern》1838년
로베르트 슈만《꽃 조각》1839년
카를 그륀바움《Lied》(Es zieht in schöner Nacht der Sternenhimmel)1840년
에른스트 프리드리히 카우프만《장 폴을 위한 세레나데》(Ständchen nach Jean Paul)1848년
카를 라이네케《O wär' ich ein Stern》(《방탕한 시대》(Flegeljahre) 중에서)1850년
슈테판 헬러《꽃, 과일, 가시 조각》(《흰밤》(Nuits blanches))1850년
마르타 폰 사비닌《O wär ich ein Stern》1855년
에른스트 메트페셀《An Wina》1866년
구스타프 말러교향곡 1번 "티탄"1889년
페르디난트 하인리히 티에리오트《즐거운 교사 뷔츠의 삶과 죽음》(Leben und Sterben des vergnügten Schulmeisterlein Wuz)1900년
휴고 라이히텐트리트《제피루스의 비문》(Grabschrift des Zephyrs)1910년
앙리 소게《폴리메트르》(Polymetres)1936년
에두아르트 퀴네케《방탕한 시대》(Flegeljahre)1937년
카를 크라프트《장 폴의 시에 따른 다섯 개의 작은 노래》(Fünf kleine Gesänge auf Verse des Jean Paul für Singstimme und Klavier)1960년
발터 치머만《한 타악주자를 위한 글로켄슈필》(Glockenspiel für einen Schlagzeuger)1983년
볼프강 림《다른 그림자》(《지벤케스》(Siebenkäs) 중에서)1985년
오스카 살라《세상으로부터 죽은 그리스도의 연설, 신은 없다》(Rede des toten Christus vom Weltgebäude herab, dass kein Gott sei)1990년
이반 에로드《비올라 독주를 위한 꽃 조각》(Blumenstück für Viola solo)1995년
토마스 바이멜《전원시》(Idyllen)1998/99년
크리스토프 바인하르트《알바노의 꿈》(Albanos Traum)2006년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하스《꽃 조각》(《지벤케스》(Siebenkäs) 중에서)2009년
루드거 슈튀르마이어《마지막 시간의 천사에게》(《퀸투스 픽슬레인의 삶》(Das Leben des Quintus Fixlein) 중에서)2013년


5. 주요 작품 목록


  • ''Grönländische Prozesse'' (1783-1784)
  • ''Auswahl aus des Teufels Papieren'' (1789)
  • 쾌활한 풋츠 선생 (''Leben des vergnügten Schulmeisterlein Maria Wutz in Auenthal'', 1790년)
  • 보이지 않는 로지 (''Die unsichtbare Loge'', 1793년)
  • 헬페르스 또는 45일간의 개 우편 (''Hesperus oder 45 Hundsposttage'', 1795년)
  • ''Biographische Belustigungen'' (1796)
  • 5학년 교사 픽슬라인의 생애 (''Leben des Quintus Fixlein'', 1796년)
  • 지벤케스 (''Siebenkäs'', 1796년)
  • ''Der Jubelsenior'' (1797)
  • ''Das Kampaner Tal'' (1797)
  • 기구 조종사 자노초 (''Des luftschiffers giannozzo seebuch'', 1801년)
  • 거인 (''Titan'', 1802년)
  • 청년기 (''Flegeljahre'', 1804년)
  • ''Vorschule der Aesthetik'' (1804)
  • ''Levana oder Erziehlehre'' (1807)
  • ''Dr. Katzenbergers Badereise'' (1809)
  • ''Des Feldpredigers Schmelzle Reise nach Flätz'' (1809)
  • ''Leben Fibels'' (1812)
  • ''Bemerkungen über uns närrische Menschen''
  • ''Clavis Fichtiana'' (Johann Gottlieb Fichte|요한 고틀리프 피히테de 참조)
  • ''Das heimliche Klaglied der jetzigen Männer''
  • 혜성 (''Der Komet'', 1820년-1822년)
  • ''Der Maschinenmann''
  • ''Die wunderbare Gesellschaft in der Neujahrsnacht''
  • ''Freiheits-Büchlein''

장 파울 동상(바이로이트)

5. 1. 소설


  • ''Grönländische Prozesse'' (1783-1784)
  • ''Auswahl aus des Teufels Papieren'' (1789)
  • ''Leben des vergnügten Schulmeisterlein Maria Wutz'' (1790)
  • ''Die unsichtbare Loge'' (1793)
  • ''Hesperus (book)'' (1795)
  • ''Biographische Belustigungen'' (1796)
  • ''Leben des Quintus Fixlein'' (1796)
  • ''Siebenkäs'' (1796)
  • ''Der Jubelsenior'' (1797)
  • ''Das Kampaner Tal'' (1797)
  • ''Titan (book)'' (1802)
  • ''Flegeljahre'' (미완성, 1804)
  • ''Vorschule der Aesthetik'' (1804)
  • ''Levana oder Erziehlehre'' (1807)
  • ''Dr. Katzenbergers Badereise'' (1809)
  • ''Des Feldpredigers Schmelzle Reise nach Flätz'' (1809)
  • ''Leben Fibels'' (1812)
  • ''Bemerkungen über uns närrische Menschen''
  • ''Clavis Fichtiana'' (Johann Gottlieb Fichte|요한 고틀리프 피히테de 참조)
  • ''Das heimliche Klaglied der jetzigen Männer''
  • ''Der Komet'' (1820-1822)
  • ''Der Maschinenmann''
  • ''Des Luftschiffers Giannozzo Seebuch''
  • ''Die wunderbare Gesellschaft in der Neujahrsnacht''
  • ''Freiheits-Büchlein''

  • 보이지 않는 로지 (''Die unsichtbare Loge'', 1793년)
  • 쾌활한 풋츠 선생 (''Leben des vergnügten Schulmeisterlein Maria Wutz in Auenthal'', 1793년)
  • 헬페르스 또는 45일간의 개 우편 (''Hesperus oder 45 Hundsposttage'', 1795년)
  • 5학년 교사 픽슬라인의 생애 (''Leben des Quintus Fixlein'', 1796년)
  • 지벤케스 (''Siebenkäs'', 1796년)
  • 기구 조종사 자노초 (''Des luftschiffers giannozzo seebuch'', 1801년)
  • 거인 (''Titan'', 1802년)
  • 청년기 (''Flegeljahre'', 1804년)
  • 혜성 (''Der Komet'', 1820년-1822년)

5. 2. 기타 저작


  • ''Grönländische Prozesse'' (1783-1784)
  • ''Auswahl aus des Teufels Papieren'' (1789)
  • ''Leben des vergnügten Schulmeisterlein Maria Wutz'' (1790)
  • ''Die unsichtbare Loge'' (1793)
  • ''Hesperus (book)'' (1795)
  • ''Biographische Belustigungen'' (1796)
  • ''Leben des Quintus Fixlein'' (1796)
  • ''Siebenkäs'' (1796)
  • ''Der Jubelsenior'' (1797)
  • ''Das Kampaner Tal'' (1797)
  • ''Titan (book)'' (1802)
  • ''Flegeljahre'' (미완성, 1804)
  • ''Vorschule der Aesthetik'' (1804)
  • ''Levana oder Erziehlehre'' (1807)
  • ''Dr. Katzenbergers Badereise'' (1809)
  • ''Des Feldpredigers Schmelzle Reise nach Flätz'' (1809)
  • ''Leben Fibels'' (1812)
  • ''Bemerkungen über uns närrische Menschen''
  • ''Clavis Fichtiana'' (요한 고틀리프 피히테 참조)
  • ''Das heimliche Klaglied der jetzigen Männer''
  • ''Der Komet'' (1820-1822)
  • ''Der Maschinenmann''
  • ''Des Luftschiffers Giannozzo Seebuch''
  • ''Die wunderbare Gesellschaft in der Neujahrsnacht''
  • ''Freiheits-Büchlein''

  • 보이지 않는 로지 (''Die unsichtbare Loge'', 1793년)
  • 쾌활한 풋츠 선생 (''Leben des vergnügten Schulmeisterlein Maria Wutz in Auenthal'', 1793년)
  • 헬페르스 또는 45일간의 개 우편 (''Hesperus oder 45 Hundsposttage'', 1795년)
  • 5학년 교사 픽슬라인의 생애 (''Leben des Quintus Fixlein'', 1796년)
  • 지벤케스 (''Siebenkäs'', 1796년)
  • 기구 조종사 자노초 (''Des luftschiffers giannozzo seebuch'', 1801년)
  • 거인 (''Titan'', 1802년)
  • 청년기 (''Flegeljahre'', 1804년)
  • 혜성 (''Der Komet'', 1820년-1822년)

6. 한국어 번역

장 파울의 주요 작품은 거의 대부분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단행본 외에도 총서, 저작집 등에 포함된 번역도 있다.

스즈키 타케키(鈴木武樹)는 소토샤(創土社)에서 『장 파울 문학 전집』(전 26권+별권 1 예정)을 기획했으나, 번역자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1, 2, 6, 7권만 출간되고 중단되었다. 쓰네요시 호카이(恒吉法海)는 규슈대학(九州大学) 출판회에서 『장 파울 중단편집』 전 2권을 출간했다. 고쿠쇼 간코카이(国書刊行会)의 『독일 낭만파 전집 제11권 장 파울/클라이스트』에는 「저녁별」, 「생기발랄」이 발췌 번역되어 수록되었다.

6. 1. 단행본


  • 気球乗りジャノッツォ|기구타기 야노초|de (고미 히카(古見日嘉) 역, 현대사조사(現代思潮社) 1967년 9월)
  • 五級教師フィクスラインの生活|5급 교사 픽스라인의 생활|de (스즈키 타케키(鈴木武樹) 역, 소토샤(創土社) 1974년)
  • 巨人|거인|de (고미 히카(古見日嘉) 역, 고쿠쇼 간코카이(国書刊行会) 1978년 1월・(신장판) 1997년 6월 ISBN 978-4336039668)
  • 陽気なヴッツ先生 ほか|쾌활한 붓츠 선생 외|de (이와타 코이치(岩田行一) 역, 이와나미 분코(岩波文庫) 1991년 3월 ISBN 978-4003245811)
  • *: 「쾌활한 붓츠 선생」, 「슈멜츠레의 큰 주의」 수록.
  • レヴァーナあるいは教育論|레바나 또는 교육론|de (쓰네요시 호카이(恒吉法海) 역, 규슈대학 출판회(九州大学出版会) 1993년 1월 ISBN 978-4873783246)
  • ジャン・パウル三本立|장 파울 삼본립|de (이이즈카 쿠니오(飯塚公夫) 역, 킨다이 붕게이샤(近代文芸社) 1995년 9월 ISBN 978-4773333855)
  • *: 「섣달 그믐날의 귀한 손님」(1801년), 「캄반의 골짜기」(1797년), 「경사스러운 노사」(1797년) 수록.
  • ヘスペルス:あるいは四十五の犬の郵便日|헤스펠스: 또는 45마리 개의 우편일|de (쓰네요시 호카이(恒吉法海) 역, 규슈대학 출판회(九州大学出版会) 1997년 5월 ISBN 978-4873784748)
  • 生意気盛り|생기발랄|de (쓰네요시 호카이(恒吉法海) 역, 규슈대학 출판회(九州大学出版会) 1998년 12월 ISBN 978-4873785707)
  • ジーベンケース|지벤케이스|de (쓰네요시 호카이(恒吉法海) 역, 규슈대학 출판회(九州大学出版会) 2000년 11월 ISBN 978-4873786506)
  • 彗星|혜성|de (쓰네요시 호카이(恒吉法海) 역, 규슈대학 출판회(九州大学出版会) 2002년 11월 ISBN 978-4873787503)
  • 美学入門|미학입문|de (고미 히카(古見日嘉) 역, 하쿠스이샤(白水社) 복간 1986년, 2010년 외)

6. 2. 총서・저작집 외


  • ジャン=パウル文学全集de 스즈키 타케키(鈴木武樹) 역, 소토샤(創土社), 1974년~1978년 (번역자 급서로 1, 2, 6, 7권만 출간, 전 26권+별권 1 예정이었음)
  • 제1권: 『보이지 않는 로지 일부』
  • 제2권: 『보이지 않는 로지 이부』
  • 제6권: 『5급 교사 픽스라인의 생활』
  • 제7권: 『빈민 변호사 지벤케이스의 결혼 생활과 죽음과 혼례』
  • ジャン・パウル中短編集de 전 2권 쓰네요시 호카이(恒吉法海) 역, 규슈대학(九州大学) 출판회
  • 제1권: 2005년 9월 (ISBN 978-4873788753)
  • 제2권: 2007년 5월 (ISBN 978-4873789361)
  • ドイツ・ロマン派全集 第11巻 ジャン・パウル/クライストde 고쿠쇼 간코카이(国書刊行会), 1990년 (ISBN 978-4336030511)
  • 『저녁별』, 『생기발랄』 발췌 번역 수록.

참조

[1] 서적 The Child and Childhood in Folk Thought: (The Child in Primitive Culture), p. 389 https://books.google[...] MacMillan 1896
[2] 학술지 The Voracious Pen of Thomas Carlyle 2009
[3] 학술지 Jean Paul Friedrich Richter and E. T. A. Hoffmann https://www.jstor.or[...] 1907
[4] 학술지 Explicating Jean Paul: Robert Schumann's Program for "Papillons," Op. 2 https://www.jstor.or[...] 1998
[5] 서적 Zensur und Kultur: Zwischen Weimarer Klassik und Weimarer Republik mit einem Ausblick bis heute Walter de Gruyter 2013
[6] 서적 Rudolf Steiner, Life and Work Volume 2 (1890-1900) https://books.google[...] SteinerBooks 2015-08-01
[7] 웹사이트 Maria Wutz https://sublunaryedi[...]
[8] 서적 Biographical Recreations from the Cranium of a Giantess Sublunary Editions
[9] 서적 Levana; or, the Doctrine of Education. Translated from the German [by A. H.]. https://books.google[...] Longman & Company 1848
[10] 서적 Levana ... Translated from the German https://books.google[...] Ticknor & Fields 1863
[11] 서적 Levana; or, The doctrine of education, tr. [by A.H.]. Preceded by a short biogr. of the author [condensed from that of E. Förster] and his autobiography, a fragment https://books.google[...] 1880
[12] 서적 Levana, Or, The Doctrine of Education https://books.google[...] G. Bell 1886
[13] 서적 Levana, Or, The Doctrine of Education https://books.google[...] D.C. Heath 18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